본문 바로가기

Analysis/트렌드 리포트

UX Writer의 등장

 

새로운 UX직업군의 등장 UX Writer

UX Writer는 UX컨설팅과 마찬가지로 UX Planner인 기획자의 역할에서 파생되어 나온 직군이라 생각하면 쉽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UX Writer의 역할은?

UX Writer의 업무는 주로 사용자가 사용하게될 버튼, 안내 사항등의 단어와 문장, 메뉴명, 다양한 콘텐츠의 타이틀등 주로 텍스트와 관련된 작업을 주로한다.

UX Writer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볼때 어떤 단어와 문구가 적합할지 계속 고민하고,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표현으로 텍스트를 작성하는 일을 한다. UX 라이팅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있다. 

 

 

✔︎UX 라이터와 카피라이터의 차이

 

우선 카피라이터의 사전적 정의를 찾아본다면

1. 광고의 글귀를 만드는 사람. ‘광고 문안가’로 순화. / 라고하는데 특히

 

광고문안은 광고원고 중에서도 가장 설득력이 강해야 하는 부분이므로,광고활동이 활발한 미국에서는 광고문 작성자(카피라이터)가 특히 중요시되고 있어, 훌륭한 카피라이터는 각 기업이나 광고대리점의 소중한 무기(武器)라고까지 평가된다. 카피라이터로서 아트 디렉터(art director:광고디자인 책임자)를 겸하거나 유력한 광고대리점의 부사장을 겸직하고 있는 사람도 적지 않다. 

현재 한국에서도 카피라이터가 하나의 직업부문으로써 있으며, 광고 미디어의 발달과 다양화 속에서 더욱 중시되고 있다. 전파매체의 카피라이터를 CM라이터라고 하여 인쇄매체의 카피라이터와 구별해 부르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카피라이터[copywriter] (두산백과)

 

형광색으로칠해진 부분처럼 카피라이터는 '광고 활동'이 주 무대로하는 직군이라면, UX라이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앱, 웹등 미디어매체나 넓게보면 모든 'Product'에 적용될 수 있는 카피를 작성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카피라이터는 광고특성상 '설득력'을 중요시한다면, UX라이터는 사용자의 '사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능과 상황에 따라 '명확성' '간결성' '유용성' 심지어 '설득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중요한거는 카피라이터가 UX라이터가 되거나 UX라이터가 카피라이터가 될 수 없다는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UX 라이팅을 할때 가장 중요한부분?

우선적으로 앱이나 웹을 생각했을때 버튼 또는 배너에 들어가야하는 라이팅을 작성해야한다면 얼마나 글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냐가 중요할것이다.

 

또한 가끔은 브랜드에대한 이해도가 높아야한다. 브랜드에 따라서 어울리는 UX라이팅 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브랜드에 어울리는 UX라이팅이란 브랜드의 보이스 톤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친절하다거나, 단호하다거나.

 

✔︎UX라이터의 자격 요건은?

해외 유명한 기업들이 찾는 UX 라이터의 자격 요건을 보면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작문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야한다.

◉다양한 직군에 사람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한다.

◉실제 사용자 측면에서 고객을 대변할줄 아는 사람이어야한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여정을 전반적으로 이해하야하며 사용자를 설득할 수 있는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어야한다.

◉복잡한 내용을 최대한 짧고 의미가 명황하게 전달될수 있도록 작성할 수 있어야한다.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따라 어떤 목소리를 내어야하는지 알 수 있어야한다.

 

 

✔︎ UX Writer가 생긴 이유는?

 

UX Writer는 특히 자체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들이 많이 찾고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UX Writer가 본인들의 서비스를 장기적으로 지속성있고 개선하며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UX측면에 한 부분을 전문적으로 맡아주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UX Writer의 미래는?

 

포스트코로나 이 후 AI와 음성 기반의 서비스가 중요해지고 있는 사실은 그 누구도 반박하지 못할것이다.

UX Writer의 영역이 앞으로 보고 읽을 수 있는 영역뿐만아니라 음성 기반 서비스에서 나오는 음성 영역까지 확장되지 않을까 싶다. 

 

 

 

참고한 글 :

https://ditoday.com/ui·ux-기획의-새로운-영역-ux-writing/

 


NUNU의 다른 아티클 더보기

 

 

재앙?축복! 노인 요양 산업에서 뜨고 있는 네 가지 테크 트렌드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의하면, 2016년에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고령자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아졌다. 고령인구비율도 2000년 7%를 넘어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뒤 내년에는 고령인구 비율

nunukr.tistory.com

 

2020 Apple Design Awards | 2020 WWDC (세계 개발자 컨퍼런스)

올해 세계 개발자 컨퍼런스(WWDC)에서 Apple Design Awards를 개최됩니다. Apple Design Awards는 Apple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최고의 디자인, 혁신, 기술 등을 선보인 개발자들의 창의적 예술성과 기술적 성과�

nunukr.tistory.com